지역사랑상품권 사용법 구매처 가맹점, 모바일/지류/카드형 차이점
지역사랑상품권구매방법입니다.
현재,
전국 240여 개 지자체에서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통시장, 동네마트, 음식점, 학원, 병원 등 실생활에서
폭넓게 사용 가능하고, 10% 안팎의 할인 구매 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 “현금 대신 무조건 지역사랑상품권을 쓴다”는 시민들이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어떻게 쓰는지, 어디서 사는지, 모바일은 되는지 잘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역사랑상품권에 대한 모든 정보를 가장 최신 정보로 정리해드립니다.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이 가능한 곳을 찾아보세요.
지역사랑상품권이란?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은 지자체에서 발행하는 지역 전용 상품권으로, 해당 지역 내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폐쇄형 지역화폐입니다.
👉 주요 목적
- 지역 내 소비 촉진
- 소상공인 보호
- 지역 경제 활성화
- 대형 프랜차이즈 소비 유도 방지
단순한 소비 수단이 아니라, 정부와 지자체가 운영하는 지역 경제 기반 정책 도구입니다.
지역사랑상품권의 3가지 유형
📱 모바일 상품권 (모바일 지역사랑상품권)
- 스마트폰 앱(제로페이 등)을 통해 결제
- 카카오페이, NH농협, 신한은행, 하나머니 등에서 연동 사용
- QR 코드로 가맹점에서 바로 결제 가능
- 가장 많은 지역에서 활성화된 방식
🧾 지류형 상품권
- 실물 종이 상품권 (5천원권, 1만원권 등)
- 주민센터, 농협, 지역 농협 지점 등에서 오프라인 구매
- 분실 시 재발급 불가, 사용처 일부 제한 있음
💳 카드형 상품권
- 선불카드 형태
- 체크카드처럼 사용 가능
- 앱 또는 카드사 페이지에서 잔액 확인 가능
어디서 구매하고 어떻게 사용하나요?
✔️ 모바일 지역사랑상품권 구매처
- 제로페이 공식 앱 (비플제로페이, 체크페이, 페이코 등)
- 은행 앱: 신한쏠, NH올원뱅크, 하나머니, 기업뱅킹 등
- 구매 시 최대 10% 할인 구매 가능
예: 9만 원 결제 시 10만 원 상품권 충전
✔️ 지류형 상품권 구매처
- 동 주민센터, 읍면동사무소
- NH농협, 지역농협, 신협, 새마을금고
※ 신분증 지참 필요
※ 구매 한도는 1인당 월 70만 원 이내 (지역별 차이 있음)
✔️ 카드형 상품권 구매 방법
- 카드사 앱(예: 경기지역화폐 앱 등)에서 신청
- 발급 후 자동 충전 및 사용 가능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처 (가맹점 확인 방법)
모든 업종에서 사용 가능한 건 아닙니다.
대형 마트,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은 사용 불가입니다.
✔️ 사용 가능한 주요 업종
- 전통시장, 슈퍼마켓, 식당, 미용실, 병원, 약국
- 택시, 세탁소, 어린이집, 학원, 동물병원
- 일부 커피숍, 베이커리, 음식점(가맹 여부 확인 필수)
👉 가맹점 조회 방법
- 로컬상품권 통합 플랫폼 접속
- 지역 선택 → 가맹점 확인
유효기간 및 잔액 조회 방법
유효기간
- 상품권 발행일로부터 5년
- 모바일형/카드형은 5년, 지류형은 3년으로 지역별 차이 존재
잔액 확인
- 앱 내 실시간 확인 가능 (모바일/카드형)
- 지류형: 사용 전·후 확인 어려움
정부24와의 연동 및 행정적 이용 가능성
지역사랑상품권은 정부24 등 공공 민원서비스와 직접 연동되진 않지만, 소득층, 청년, 신혼부부 등에게 정책성 지원금 형태로 지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시:
- 청년수당 30만 원 → 모바일 지역화폐로 지급
- 아동수당 지역화폐로 지급 (지방자치단체별)
지역사랑상품권의 할인율과 환불
할인율
- 보통 10%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 가능
- 연말, 명절 등에는 예산 소진으로 조기 종료
환불 규정
- 사용 잔액의 60% 이상 사용 시 환불 가능
- 환불은 발행처(시청, 군청 등)에 문의
- 일부 지역은 모바일 앱에서 환불 신청 가능
사용 불가 업종
사용 불가 업종 | 사유 |
대형마트/백화점 (이마트, 롯데, 홈플러스 등) | 지역 자본 역외 유출 방지 |
온라인 쇼핑몰 (쿠팡, 11번가 등) | 지역 상권과 무관한 소비 |
프랜차이즈 직영점 | 본사가 수익 독점 구조, 지역 이익 환원 어려움 |
재난지원금과 지역화폐의 차이
항목 | 지역사랑상품권 | 재난지원금 |
목적 | 지역 상권 보호, 지역경제 순환 목적 | 긴급 상황에서 소비자 생계 지원 목적 |
지급 방식 | 구매 후 사용 (할인형) | 정부 예산으로 직접 지급 (무상) |
유효기간 | 보통 3~5년 | 3개월~6개월 등 단기 중심 |
사용처 제한 | 있음 | 있음 (지역, 업종 제한 동일) |
예산 운용 구조 | 지자체 예산 활용 | 중앙정부 + 지방정부 공동 재원 |
모바일 지역사랑상품권을 위한 필수 앱 TOP 5
- 비플제로페이 – 가장 많은 지자체 연결, 안정성 우수
- 페이코(PAYCO) – UI 간편, 은행 연동 용이
- 농협 올원뱅크 – NH농협과 연결된 지자체 사용에 유리
- 신한쏠 – 카드형 상품권 이용자에게 적합
- 경기지역화폐 앱 – 경기도 전용 카드/모바일형 이용 필수
관련 법령 및 제도 근거
- 지역사랑상품권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 지방자치단체 조례 및 시행규칙
- 생활법령정보센터 지역사랑상품권 안내
마무리 요약
지역사랑상품권은 단순한 소비를 넘어 지역과 지역민이 함께 살아가는 경제의 연결고리입니다.
2025년 현재, 많은 지자체가 예산을 책정해 할인율 유지, 청년·소상공인 지원 확대, 모바일 사용 편의성 강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AI 기반 지역 소비 분석 연계 등으로 더 발전될 가능성이 큽니다.
지금 바로 내가 사는 지역의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과 할인율을 확인하고, 소비도 하고 혜택도 누리는 스마트한 소비 습관을 시작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