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보험계산기와 4대보험요율 | 돌고 돌아 여기

4대보험계산기와 4대보험요율

 4대보험은 대한민국에서 사회보장을 위해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4가지 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뜻합니다. 

이러한 보험들은 월급에서 일정 금액을 공제하는 방식으로 납부되며, 각 보험의 요율에 따라 계산됩니다. 

하지만 복잡한 보험료 계산은 혼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때 4대보험계산기를 활용하면 손쉽게 자신의 보험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4대보험계산기의 이용방법과 2024년 기준 4대보험요율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4대보험계산기



4대보험계산기



4대보험이란?

4대보험은 국민의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하고자 고용주와 근로자가 공동으로 부담하는 사회보험 제도입니다. 



각 보험은 목적과 보장 범위가 다르며, 근로자와 고용주가 요율에 따라 분담하게 됩니다.

  • 국민연금: 노후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소득의 일정 비율을 납부하는 연금 보험.
  • 건강보험: 질병이나 사고로 인한 의료비를 지원하기 위한 의료보험.
  • 고용보험: 실업 시 생활 안정과 고용 안정을 지원하는 보험.
  • 산재보험: 업무 중 발생한 사고로 인한 피해를 보상해주는 보험.




4대보험요율 (2024년 기준)

4대보험은 소득의 일정 비율을 보험료로 납부하게 되며, 이 비율을 보험 요율이라고 합니다.

2024년 기준 요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험 종류 근로자 부담 사업주 부담 총 요율
국민연금 4.5% 4.5% 9.0%
건강보험 3.825% 3.825% 7.65%
고용보험 0.9% 1.05% (3인 이상 사업장) 1.95%
산재보험 없음 업종별 상이 평균 1.56%
장기요양보험료 12.81% (건강보험료 기준) 12.81% 12.81% (건강보험료의 12.81%)
  • 국민연금: 소득의 9%를 납부하며,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4.5%씩 부담합니다.
  • 건강보험: 소득의 7.65%로,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3.825%를 분담합니다.
  • 고용보험: 근로자는 0.9%를, 사업주는 1.05%(3인 이상 사업장 기준) 부담합니다.
  • 산재보험: 근로자는 부담하지 않으며, 사업주만 부담하며 업종에 따라 요율이 다릅니다.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81%를 추가로 납부합니다.




몰라서 못받는 환급금



4대보험계산기 이용방법

4대보험계산기를 통해 근로자가 납부할 각 보험료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4대보험 계산기는 온라인에서 무료로 제공되며, 소득만 입력하면 각 보험료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청약점수 계산하기




4대보험계산기 이용 순서

  1. 계산기 사이트 접속
    • 먼저, 국민연금, 건강보험공단 등의 공식 사이트나 민간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4대보험계산기에 접속합니다. 대부분의 계산기는 모바일에서도 이용 가능합니다.
  2. 소득 정보 입력
    • 월급(또는 연봉)을 입력합니다. 일반적으로 세전 소득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3. 근로 형태 선택
    • 정규직, 비정규직, 파트타임 등 근로 형태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 선택에 따라 보험료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계산 버튼 클릭
    • 필요한 정보 입력 후,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각 보험의 부담금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5. 결과 확인
    •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의 개인 부담액과 사업주 부담액이 상세히 나옵니다.



4대보험 계산기 활용 팁

  • 상세 설정 사용: 일부 계산기에서는 근로자의 나이나 가입 형태에 따라 세부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령자 고용지원금 혜택 등을 선택하여 보다 정확한 계산이 가능합니다.
  • 연봉 기준 사용: 연봉을 기준으로 계산할 수 있는 옵션도 있으니, 연봉 기준으로 월 납입 보험료를 계산하려면 이 기능을 활용하면 좋습니다.







4대보험 계산 예시

4대보험계산기를 이용하면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개인이 부담할 보험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로, 월 소득이 300만 원인 근로자의 4대보험 계산 결과를 살펴보겠습니다.

보험 종류 개인 부담 사업주 부담 총 부담금
국민연금 135,000원 135,000원 270,000원
건강보험 114,750원 114,750원 229,500원
고용보험 27,000원 31,500원 58,500원
장기요양보험료 14,685원 14,685원 29,370원
총합 291,435원 295,935원 587,370원

이처럼 소득에 따라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부담하는 4대보험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대보험료 계산하기




4대보험 계산 시 주의사항

4대보험 계산을 할 때, 아래 주의사항을 염두에 두고 계산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세전 소득 기준: 4대보험은 기본적으로 세전 소득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세금 공제 후 금액이 아니라 세전 월급을 정확히 입력해야 정확한 보험료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업종에 따른 산재보험 차이: 산재보험은 업종에 따라 요율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요율을 사용하는 대신 업종별 요율을 참고해야 합니다.


3. 소득 상한선: 4대보험은 소득에 상한선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민연금은 일정 소득 이상부터는 상한선을 초과한 금액에 대해 보험료를 추가로 납부하지 않습니다.





휴일지킴이약국




4대보험의 중요성과 혜택

4대보험은 근로자의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단순히 보험료 납부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중요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 국민연금: 고령 시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 건강보험: 질병이나 사고로 발생하는 의료비를 줄여주고, 건강관리에 도움을 줍니다.
  • 고용보험: 실직 시 생활비를 지원받고, 직업 훈련을 통해 재취업 기회를 제공합니다.
  • 산재보험: 업무 중 사고나 질병 발생 시 치료비와 생활비를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

4대보험은 근로자와 고용주 모두에게 중요한 제도이며,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4대보험계산기를 이용하면 복잡한 계산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매달 부담해야 할 보험료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 소개한 2024년 기준 4대보험요율과 계산기 이용 방법을 참고하여, 자신의 보험료를 정확히 확인하고, 건강한 경제 생활을 이어가시길 바랍니다.





다음 이전